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주민현
- 나선미
- 그리움의 시
- 윤동주
- 힐링그림책
- 사랑시
- 너를 모르는 너에게
- 나태주
- 감성시
- 봄에 읽기 좋은 시
- 멀리 가는 느낌이 좋아
- 그대 꽃처럼 내게 피어났으니
- 미움받을 용기
- 윤홍균
- 자존감
- 외모 자존감
- 마음챙김의 시
- 시가 사랑을 데리고 온다
- 자존감수업
- 내가 확실히 아는 것들
- 가을시
- 희망시
-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 좋은시
- 겨울시
- 류시화
- 가을 시
- 힐링 그림책
- 위로시
- 자존감회복
- Today
- Total
목록외모관리 (4)
때는 봄, 봄날은 아침🌿

🌟오늘은 이미지 코칭을 받고 변화를 시도한 두 케이스를 소개할게요. 글보다는 사진이 효과적일 것 같네요 :) # 첫 번째 사례 🌟Before 그런데 최근 몇 년간 외부 활동을 거의 하지 않고 육아에만 집중하다 보니 나 자신을 잃어가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Wish 어디서든 자연스럽지만 매력적이고 활기 있는 사람이 되어 나를 만나는 이들에게 선한 영향을 주고 싶습니다. 무엇보다 남편과 아들이 나를 자랑스럽게 생각했으면 좋겠습니다. 혜안을 갖고 올바른 삶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사실 지금까지 외모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습니다. 어렸을 때도 내 모습이 항상 부족하다 느꼈고, 지금은 나이가 많이 들었다는 생각까지 합니다. 그런데 이제는 당당한 모습으로 아름다워지고 싶습니다. 외적으로..
🌟 현재 외모관리를 잘 하고 있는 편인가요? 언제나 결정하고 행동하는 주체는 나 자신이지요. 오늘은 외모관리에 대한 스스로의 견해를 점검해볼게요 :) 책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가져왔어요. 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조하시면 좋아요. 💫나의 외모는 이대로 괜찮은가? : 지금의 나는 내가 만든 결과물이다 만사가 귀찮은 어느 날, 손에 막 잡히는 옷을 입고 메이크업도 하지 않은 채 출근을 했다. 그날따라 회사에서는 중요한 회의가 잡혔고 옆자리 동료는 꽤나 신경 쓴 옷차림에 메이크업까지 완벽하게 하고 있어 내 모습이 더욱 초라하게 느껴졌다. 다른 동료들은 유난히 더 그녀에게 친절한 것 같아 짜증이 났다. 우울한 기분으로 집에 돌아오니 진이 빠져 배가 고 팠다. 라면을 끓여 먹으며 밀린 드라마를 보다 보니 어느 새 새벽..
🌟 보기 좋은 외모와 호감을 주는 외모 중 어떤 것을 갖고 싶나요? 호감을 주는 외모는 시술 없이 만들 수 있는 걸까요? 오늘은 호감을 주는 외모와 관리방법에 대해 생각해볼게요 :) 책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가져왔어요. 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조하시면 좋아요. 💫좋은 외모보다 기분 좋은 외모 "좋은 외모란 어느 정도의 외모를 말할까요?"라고 물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연예인처럼 예쁘고 잘생긴 얼굴을 떠올린다. 그리고 "당신도 그런 모습이 될 수 있을까요?"라고 물어보면 하나 같이 고개를 내젓는다. 사실 사람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좋은 외모'의 기준은 저마다 다르며,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는 외모의 정도도 차이가 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호감을 주는, 즉 '기분 좋은 외모'의 기준은 의외로 분명하다. • 미..

🙌 반가워요 :) 🌟며칠 전 남녀가 이성을 볼 때 가장 우선시하는 것이 무엇인지 인터뷰하는 것을 보았어요. 여성은 남성의 깔끔하게 관리된 외모 (잘 생긴것과는 다른 의미), 매너, 분위기 등. 남성은 여성의 외모, 예쁘면 OK! 모든 사람이 그런건 아니겠지만 대부분이 그렇다고 해요. 예쁘고 멋진 기준도 개인마다 다르지만 외모를 잘 관리한 사람에게 매력을 느낀다는 것은 공통된 의견이었어요. 그래서 오늘부터 '외모는 자존감이다'라는 책을 소개하려고 해요. 외모와 자존감사이의 상관관계를 아주 잘 설명한 책이예요. '외면보다 내면이 중요하다'는 말을 하면서 외면을 무시할 수 없는 아이러니. 외면과 내면 모두 중요함을 인정하고, 균형을 맞추는 것이 현명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 방법에 대해 아주 잘 안내해 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