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위로시
- 희망시
- 가을시
- 봄에 읽기 좋은 시
- 힐링 그림책
- 미움받을 용기
- 겨울시
- 자존감수업
-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 그리움의 시
- 가을 시
- 류시화
- 감성시
- 사랑시
- 멀리 가는 느낌이 좋아
- 그대 꽃처럼 내게 피어났으니
- 마음챙김의 시
- 나선미
- 자존감
- 나태주
- 윤동주
- 외모 자존감
- 너를 모르는 너에게
- 주민현
- 좋은시
- 힐링그림책
- 내가 확실히 아는 것들
- 시가 사랑을 데리고 온다
- 자존감회복
- 윤홍균
- Today
- Total
목록교우의 과제 (2)
때는 봄, 봄날은 아침🌿
붉은 실과 단단한 쇠사슬 아무리 어려워 보이는 관계일지라도 마주하는 것을 회피하고 뒤로 미뤄서는 안 된다. ‘교우의 과제’란 일을 벗어난, 더 넓은 의미에서의 친구관계이다. 일처럼 강제성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관계를 맺는 것도, 관계가 깊어지는 것도 어려운 관계이다. 친구는 많을수록 좋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은데, 과연 그럴까? 친구와 지인의 수는 결코 중요하지 않다. 이는 사랑의 과제와도 연결되는 내용인데, 중요한 것은 관계의 거리와 깊이이다. 당신은 진정한 벗을 만나고 싶은가? 당신이 변하면 주변도 달라진다. 달라질 수밖에 없다. 아들러 심리학은 타인을 바꾸기 위한 심리학이 아니라 자신을 바꾸기 위한 심리학이다. 타인이 변하기를 기다리는 것도, 상황이 변하기를 기다리는 것도 아닌 당신이 첫 발을 내디..
‘인생의 과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개인이 사회적인 존재로 살고자 할 때 직면할 수밖에 없는 인간관계, 그것이 인생의 과제이다. 인간관계는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랄 정도로 중요한 문제이다. 당신은 왜 다른 사람을 ‘적’으로 보고 ‘친구’로 여기지 못하는 것일까? 그것은 용기를 잃은 당신이 '인생의 과제(task)'로부터 도피했기 때문이다. 아들러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 양 측면에서 아주 분명한 목표를 제시하였다. 먼저 행동의 목표로는 '자립할 것'과 '사회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것'이라는 두 가지를, 이러한 행동을 뒷받침하는 심리적 목표로는 내게는 능력이 있다는 의식을 갖는 것과 그로부터 '사람들은 내 친구다'라는 의식을 갖는 것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는 아들러가 제시한 ‘인생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