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존감수업
- 너를 모르는 너에게
- 힐링그림책
- 가을 시
- 위로시
- 가을시
- 봄에 읽기 좋은 시
- 멀리 가는 느낌이 좋아
-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 힐링 그림책
- 겨울시
- 시가 사랑을 데리고 온다
- 류시화
- 미움받을 용기
- 나선미
- 그리움의 시
- 외모 자존감
- 감성시
- 내가 확실히 아는 것들
- 주민현
- 자존감
- 자존감회복
- 윤동주
- 좋은시
- 그대 꽃처럼 내게 피어났으니
- 윤홍균
- 희망시
- 나태주
- 사랑시
- 마음챙김의 시
- Today
- Total
목록인생의 거짓말 (2)
때는 봄, 봄날은 아침🌿
개인심리학과 전체론 과제의 분리는 타인을 밀어내는 발상이 아니다.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인간관계의 실타래를 푸는 개념이다. 개인심리학은 영어로 Individual Psychology라고 한다. 그리고 이 개인을 뜻하는 Individual의 어원을 살펴보면 ‘분할할 수 없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신체의 증상을 마음(정신)과 떼어놓고 생각하지 않는다. 마음과 몸은 하나이고, 더 이상 분할할 수 없는 ‘전체’로 본다. 긴장하면 손발이 떨리거나 공포로 얼굴이 새파랗게 질리는 식으로. 이성과 감성, 의식과 무의식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은 통일 된 전체인 셈이다. 물론 마음과 몸이 별개라는 것. 이성과 감정이 다르다는 것, 의식과 무의식이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예를 들어 화가 나서 타인에..
‘인생의 거짓말’을 외면하지 말라 우리는 자신의 생활양식을 스스로 선택한다. 책임 소재는 명확하다. 가령 당신이 A라는 사람을 싫어한다고 해보자. 왜냐하면 A에게는 용서하기 힘든 결점이 있으니까. 하지만 당신은 A의 결점을 용서 못해서 싫어하는 것이 아니다. 당신에게는 ‘A를 싫어한다’는 목적이 앞서고, 그 목적에 맞는 결점을 나중에 찾아낸 것이기 때문이다. 왜 일까? A와의 관계를 피하기 위해서다. 사귀던 사람과 헤어질 때를 떠올려보라. 연인사이나 부부관계에 있어서 어느 시기가 지나면 상대가 하는 행동에 사사건건 화가 날 때가 있다. 밥을 먹는 모습을 보고 혐오감을 느낀다거나, 숨소리만 들어도 화가 난다거나, 수개월 전까지는 아무렇지도 않았는데 말이다. 그건 그 사람이 어느 단계에서 ‘이 관계를 끝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