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존감수업
- 윤동주
- 감성시
- 멀리 가는 느낌이 좋아
- 자존감회복
- 류시화
- 나태주
- 사랑시
- 가을시
- 위로시
- 윤홍균
- 내가 확실히 아는 것들
- 주민현
- 힐링그림책
- 마음챙김의 시
- 너를 모르는 너에게
- 자존감
- 그리움의 시
- 힐링 그림책
- 겨울시
- 미움받을 용기
- 가을 시
- 시가 사랑을 데리고 온다
- 나선미
-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 외모 자존감
- 희망시
- 그대 꽃처럼 내게 피어났으니
- 좋은시
- 봄에 읽기 좋은 시
- Today
- Total
목록열등 콤플렉스 (2)
때는 봄, 봄날은 아침🌿
자랑하는 사람은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 자신의 불행을 ‘특별’하기 위한 무기로 휘두르는 한 그 사람은 영원히 불행을 필요로 할 수밖에 없다. 나아가 학력에 열등 콤플렉스가 있어서 ‘나는 학력이 낮아서 성공할 수 없다’라고 생각한다면, 그건 거꾸로 말해, ‘학력만 높으면 나는 크게 성공할 것이다’하는 논리가 되기도 한다. 그것이 열등 콤플렉스가 지닌 또 다른 측면이다. 자신의 열등 콤플렉스를 말이나 태도로 밝히는 사람, ‘A라서 B를 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사람은 A만 아니면 나는 유능하고 가치 있는 존재라는 것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셈이다. 열등감에 관해 아들러는 ‘열등감을 오랫동안 참아낼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라고 지적했다. 누구나 열등감을 갖고 있지만 언제까지나 그 상태를 참고 견딜 수는 없다,..
변명으로서의 열등 콤플렉스 열등 콤플렉스는 자신의 열등감을 변명거리로 삼기 시작한 상태를 가리킨다. 아들러도 열등감은 누구에게나 있다고 인정했다. 열등감 자체는 조금도 나쁜 것이 아니다. 그러고 보면, 인간은 왜 열등감을 느끼는 것일까? 그건 순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선 인간은 무기력한 존재로 이 세상에 태어났다. 그리고 무기력한 상태에서 벗어나려는 보편적인 욕구를 갖고 있다. 아들러는 이를 ‘우월성 추구’라고 하였다. 간단히 ‘향상되기를 바라는 것’ ‘이상적인 상태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아장아장 걷는 아기는 두 발로 서게 되고, 말을 배워서 주변 사람들과 자유로이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우리는 모두 무기력한 상태에서 벗어나기를 바라고, 더 나아지길 바라는 보편적인 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