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힐링그림책
- 내가 확실히 아는 것들
- 미움받을 용기
- 그리움의 시
- 가을 시
- 윤동주
- 시가 사랑을 데리고 온다
- 나태주
- 너를 모르는 너에게
- 나선미
- 힐링 그림책
- 자존감
- 자존감회복
- 가을시
- 외모 자존감
- 류시화
- 자존감수업
- 사랑시
- 희망시
-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 좋은시
- 겨울시
- 위로시
- 봄에 읽기 좋은 시
- 멀리 가는 느낌이 좋아
- 주민현
- 감성시
- 마음챙김의 시
- 그대 꽃처럼 내게 피어났으니
- 윤홍균
- Today
- Total
목록자존감수업 윤홍균 (4)
때는 봄, 봄날은 아침🌿
자존감 수업. 17 번째 시간이예요.(●'◡'●) 자존감과 감정은 밀접한 관계에 있지요. 나의 감정을 잘 인식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배웠어요. 오늘은 감정 중에서도 뜨거운 감정에 대해 알아보고, 잘 다루는 방법을 배워볼게요 :) 책의 내용을 부분 편집했어요. 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조하세요. ★뜨거운 감정의 네 가지 스펙트럼 한국인 대다수는 어릴 때부터 감정을 억제하는 교육 속에서 자란다. '울면 안 돼'라거나 '사내자식이 엄살은' 등의 말을 들으며 슬픔을 감추고 아픔을 억누르도록 내면화했다. 요즘엔 그 반작용으로 '긍정의 힘'까지 강조하다 보니 부정적 감정에는 둔감해져야 할 것 같은 강박마저 생기는 추세다. 행복하려면 감정을 느끼는 수용체가 살아 있어야 한다. 건강한 수용체를 통해 모든 감정..
자존감 수업. 16 번째 시간이예요.(●'◡'●) 우리는 다양한 감정을 느끼며 살아가는데 그 중에서도 내가 유독 자주 느끼는 감정들이 있어요. 그것을 핵심 감정이라고 부르는데요, 오늘은 나의 핵심 감정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어떻게 다루어야할지 배워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 책의 내용을 부분 편집했어요. 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조하세요. ★창피함을 자주 느끼는 사람들의 착각 우리가 창피함을 자주 느끼는 것은 몇 가지 인지적 착오 때문이다. 우선, 모두가 나를 보고 있을 거라는 착각이다. 단체사진을 연상해보면 이해하기 쉽다. 소풍을 가서 단체사진을 찍으면 어김없이 나만 눈을 감고 있거나 못마땅한 표정이어서 속상할 때가 많다. 하지만 내가 내 모습만 신경을 쓰듯 남들도 자기 모습에만 신경을 쓴다. 사실 대다..

자존감 수업. 15 번째 시간이예요.(●'◡'●) 자존감은 '나를 얼마나 존중하는가' 하는 사고의 척도이지만 감정의 영역이기도 해요. 그래서 우리가 느끼는 다양한 감정을 구분하고 다루는 능력이 필수! 이때 심리학을 알면 도움이 돼요. 오늘은 감정을 잘 조절하기 위해 구분해야 할 것들을 배워보고 연습하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 책의 내용을 부분 편집했어요. 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조하세요. ★감정에도 이름표가 있다 감정을 조절하는 행위는 자동차 운전과도 같다. 멋진 차를 가졌어도 운전을 못하거나 차가 내 말을 듣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멈추고 싶은 곳에서 멈추고, 가고 싶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전 기술이 필요하다. 감정도 이와 닮았다. 내가 느끼는 감정이 무엇이고 그 감정의 특징은 무엇인지, 감정들 간의 공..
자존감 수업. 열한 번째 시간이예요.(●'◡'●) 관계 맺기는 고속도로에서 운전하는 일과 비슷해요. 아무리 운전을 잘하고 조심해도 주변 차를 잘못 만나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나만 잘한다고 될 일이 아니지요. 관계안에서 문제가 생길 때, 나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관계맺기에 큰 방해물이예요. 관계는 양방향이죠. 누구에게나 크고 작은 문제는 있어요. 나에게만 문제가 있다고 느껴졌다면 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 책의내용을 부분 편집했어요. 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조하세요. ★나는 특이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정신치료 요법 중 '보편화'라는 기법이 있다. 내담자가 겪는 갈등이나 고통이 본인만의 문제가 아님을 일깨우는 방법이다. 다른 많은 사람들도 겪고 있는 문제라는 사실만 알려줘도 안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