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는 봄, 봄날은 아침🌿

책 <미움받을 용기> #23인정욕구를 부정하라 / 기시미 이치로 본문

힘이 되어 줄 책

책 <미움받을 용기> #23인정욕구를 부정하라 / 기시미 이치로

His 제이 2023. 9. 8. 07:29

 

‘소유의 심리학’에서 ‘사용의 심리학’으로

 

프로이트의 원인론은 소유의 심리학이고 결국엔 결정론으로 귀결된다. 반면 아들러 심리학은 사용의 심리학이고 결정은 우리가 하는 것이다. 우리 인간은 과거의 트라우마에 휘청거릴 만큼 나약한 존재가 아니다. 목적론의 입장에 서서 자신의 인생을, 자신의 생활양식을 자신의 손으로 고르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그럴 힘이 있다.

 

 

 

 

 

인정욕구를 부정하라

 

당신이 금전적 자유를 손에 넣었다고 가정해보자. 엄청난 부를 손에 넣었지만 행복해질 수 없다고 말이다. 그때 당신에게 남은 고민은 무엇이고, 어디에서 부자유스러움을 느낄까?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타인에게 인정받기 원하는 마음을 부정한다. 타인에게 인정받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도리어 인정받기를 바라서는 안 된다.

 

 

 

「미움받을 용기 」 기시미 이치로 / 고가 후미타케

 
 
 


 

 

우리는 과거의 트라우마에 휘청거릴 만큼 나약한 존재가 아니므로

지난 일들에 대해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고,

새로운 생활양식을 선택하여 살아갈 수 있다.

 

사람은 누구나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기를 원하지만

타인의 인정에 의존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이다.

 

타인의 인정을 신경쓰지 않으면

삶의 대부분에서 자유로움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사람들과 기브앤테이크가 아닌

진솔한 관계를 맺기가 쉬워진다.

(이것은 나의 경험)

 

다만 나에게는 인정받아야할 대상이 있는데

그것은 오직 신God(하나님) 뿐이다.

 


 
 
 
 
 
 
 

Alfred Adler (1870 ~ 1937) 오스트리아, 정신의학자